반응형 Research15 LLaMA.cpp를 기반으로 한 코딩 Asistant 프로젝트 (Copilot 대체하기) 1. Turbopilot 프로젝트 소개들어가기에 앞서, 이 전 포스트에서 LLaMA라는 인공지능을 소개하고 LLaMA.cpp 프로젝트 셋팅 및 사용까지 해보았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탄생하고 있는 수많은 프로젝트와 Model들이 있는데요. 여러가지 나온 것 중에 개발자에게 유익한 프로젝트가 있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프로젝트는 turbopilot라는 명으로 며칠 전에 공개가 되었으며, github의 copilot을 로컬환경에서 사용해볼 수 있는 프로젝트로 보여집니다.또한 이 turbopilot은 GPU가 없어도 되며 4GB의 메모리 공간만 있다면 사용해볼 수 있다고 하니, 외부 API에 코드를 전송하면 안되는 상황(ex. 사내망 등)의 개인 PC에서도 활용성이 있어보이네요 :)2. 사용되는 Mode.. 2023. 4. 19. Meta에서 출시한 인공지능 LLaMA를 사용해보자 (ChatGPT만큼 되나?) 참고: 인공지능을 전혀 공부하지 않은 사람이 작성하는 글입니다. 사용하는 단어나 문장에 대해서 틀릴 수 있으니, 수정이 필요할 경우 언제든 댓글 부탁드립니다.LLaMA소개 Meta에서는 대규모 언어 모델인 LLaMA(Large Language Model Meta AI)를 공개했다. 보통의 인공지능 모델들은 빵빵(?)한 서버 환경이 뒷 받침 되어야 하는데, LLaMA의 경우는 일반 사용자의 PC에서도 수행이 가능할 정도로 개발이 잘 되어 있습니다. 제가 본 기사 중 일부의 내용으로 보아하니 다른 AI와 견주어도 뒤지지 않을 만큼의 성능을 지닌 AI로 보여집니다! 셋팅을 하면서 어떤게 또 가능할지, 관련된 포스팅들을 틈틈히 써볼 수 있도록 할게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기사를 참고길 바랍니다.기사 중 .. 2023. 4. 6. [EEG/BCI] 4. 뇌전도(EEG)와 P300 뇌파? 뇌전도? TV나 각종 매체를 통해서 뇌파라는 말을 보았을 텐데요. 뇌파의 뜻은 뇌의 파동이며, 이것은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의 흐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이 전기의 흐름은 신경계 중에서도 '뇌신경' 사이에서 신호가 전달할때 발생하게 되게 되어있습니다. 5개의 파장 뇌에서는 아래 다섯 종류의 파장을 띄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파장들은 신체의 상태에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산하며, 발산된 파장을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 활용을 하게 됩니다. 이 부분이 BCI를 구성하는데 핵심기술인듯 하네요. 1) 감마파 2) 베타파 3) 알파파 4) 세타파 5) 델타파 보다 자세한 설명을 돕기 위해서 뉴스의 내용을 스크랩하였습니다. (출처: 뇌파로 사람의 마음을 읽다) 뇌파의 주파수에 따라 .. 2018. 4. 8. [EEG/BCI] 3. EEG 칩셋(TGAM1) 분석 분석은 RAW하게나는 보통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대상이 뭐든간에 raw하게 접근하고 관련된 것들을 찾아본다.raw하게 보는건 사서 삽질을 하는건데, 이러면서 배우는게 생각보다 많고 은근히 재미있다!!사서 삽질한 내역들을 대충 보면 이러하다. - GPU keylogger프로젝트할때 커널 소스 분석 및 커널 구조 공부 - 응용프로그램 or 각종 서비스의 작동 원리가 궁금해서 진행한 바이너리 리버싱 - 등등..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raw단부터 분석을 할거고 대상은 장비 내부의 EEG칩셋(TGAM1) 정도만 볼거다.그리고 해당 장비의 메인 칩셋을 분석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 EEG 측정 장비를 만들어보고 싶었고 - 해당 장비와 아두이노(또는 기타 kit)를 연결할 일이 있을듯 해서! 하지만 이런 이유를 떠나서,.. 2018. 4. 8. 이전 1 2 3 4 다음